
📌 목차
- 청년도약계좌란?
- 가입 대상과 조건
- 2025년 추가된 가입 혜택
- 2025년 신청 혜택
- 신청 전 체크리스트
- 마무리: 꼭 챙겨야 할 이유
🟡 서론: “청년도약계좌, 왜 모두 주목하는가?”
청년을 위한 정책 중 최근 가장 주목받는 제도가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2023년 처음 도입된 이 제도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가 함께 돈을 넣어주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 제도”**로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만기 시 수백~수천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2025년 들어 가입 조건이 완화되고, 정부 지원 금액도 증가하면서 청년층 사이에서 다시 한번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 방법이나 대상 조건이 까다롭게 느껴지기도 해서 한 번에 정리된 정보를 찾는 것이 쉽지 않죠.
그래서 오늘은,
“청년도약계좌가 무엇인지, 누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이전과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쉽고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본론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이하 청년이 매달 저축하면 정부가 함께 기여금을 넣어주는 제도입니다.
가입자가 월 40만 원까지 납입하면, 정부가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추가 지원합니다.
5년 동안 유지할 경우 최대 5천만 원 이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말하면,
- 내가 5년간 총 2,400만 원을 납입하면
- 정부가 360만 원~500만 원 이상을 함께 넣어주고
- 세금 없이 수익까지 더해져
📌 총 3천만 원 이상을 만들 수 있는 목돈 적립형 정책입니다.
📌 무려 연 9.54%의 일반적금 가입혜택을 받는 것이라고 해요. 가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
그럼 누가 가입 가능하고 어떤 가입 조건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 가입 대상과 조건 (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는 신규 가입일 기준으로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군 복무를 이행한 경우에는 39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을 위해서는 연소득이 7,500만 원 이하이어야 하며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는 6,3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또한,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인 경우 더 많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근로 중이거나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연령: 신규 가입일 기준 19세~34세 이하인 청년 (병역이행을 하면 최대 6년 추가 인정됨)
✅ 개인소득 요건: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금융소득 요건: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청
✅ 가구소득 요건: 가구소득 중위 250% 이하인 청년
✅ 근로 중이거나 사업소득이 있어야 함
단,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자립준비청년 등은 추가 우대 혜택 가능합니다.
3. 2025년부터 추가된 가입자 혜택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 제도에 여러 가지 새로운 변화가 생겼어요. 하나씩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게요.
1) 정부기여금이 더 늘어났어요.
이제 월 최대 33,000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됐어요. 기존보다 최대 9,000원이 더 오른 셈인데요,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기 때문에 개인 소득에 따라 받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2) 중간에 돈을 일부 인출할 수 있게 됐어요.
5년을 쭉 납입해야 한다면 조금 부담스러울 수도 있는데요. 예전에는 한번 넣으면 중도해지만 가능했는데, 이제는 2년 이상 유지하면 원금의 40%까지는 꺼내 쓸 수 있게 되었어요.
다만, 꺼낸 금액에 따라 이자나 정부지원금 일부가 회수될 수도 있어요. 그래도 급할 때 빼서 쓸 수 있다니 좋아진 점이죠?
중요한 건! 이건 중도해지가 아니라 제도 안에서 유연하게 쓸 수 있도록 허용한 거라는 점이에요.
3) 중도해지를 해도 불이익이 줄었어요.
예전에는 5년 만기 전에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도 없고, 정부기여금도 전부 회수됐거든요.
그런데 이제는 3년 이상 유지했을 경우, 비과세 혜택은 그대로 받고, 정부기여금도 60%까지 받을 수 있어요.
일반 시중 적금으로 따지면 연 7.64% 수익률 수준이라고 하니 꽤 괜찮은 조건이죠. 꾹 참고 3년간 저축하면 큰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4) 신용점수에도 도움이 돼요.
NICE나 KCB 같은 신용평가사에서 신용점수를 5~10점 정도 올려주는 가점이 생겼어요.
단, 조건이 있어요. 2년 이상 유지하고, 납입 총액이 800만 원 이상일 때 성실하게 납입한 사람에게 해당돼요.
이건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신용평가에 반영된다고 하니 꽤 유용해요.
5) 정부기여금 지급 방식도 바뀔 예정이에요.
지금은 분기마다 한 번씩 지급되지만, 앞으로는 월 단위로 바뀔 예정이에요.
다만, 이건 2025년 중 시스템이 정비된 이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라 아직은 조금 기다려야 해요.
6) 예금주 변경도 예외적으로 가능해졌어요.
예전엔 절대 불가능했지만, 사망이나 중대한 장해 같은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 예금주를 변경할 수 있게 되었어요.
물론 일반적인 사유로는 여전히 변경이 어렵지만, 제도가 조금 더 유연해졌다는 의미예요.
2025년 더 합리적이고 혜택을 많이 주는 청년도약계좌 잘 이해가 되셨죠? 그럼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항목 | 새롭게 도입된 내용 | 설명 |
정부기여금 확대 | 월 최대 33,000원으로 인상 | 소득구간별 차등 인상 (최대 9,000원 인상) |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 |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까지 부분 인출 가능 | - 단, 이자 및 기여금 일부는 회수될 수 있음 - 중도해지 아님, 제도 내에서의 ‘유연한 사용’ 방식 |
중도해지 시 패널티 완화 |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유지 및 정부 기여금의 60% 지급 (연 7.64%의 일반적금 상품 가입 효과) | 이전까지는 만기(5년) 도래 전 중도해지시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 전액 회수되었으나, 이제는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보존됨 |
신용점수 가점 부여 | NICE, KCB 등에서 5~10점 가점 부여 | 조건: 2년 이상 유지 + 납입 총액 800만 원 이상 성실 납입 시 - 개인 신용평가 시 자동 가점 부여 |
정부기여금 지급 방식 개선 예정 | 분기 → 월 단위로 변경 예정 | 2025년 중 시스템 정비 후 단계적 적용 예정 |
예금주 변경 허용 (예외적) | 불가피한 사유 시 예금주 변경 가능 | 사망, 장해 등 불가피한 경우에 한함 |
✅ 소득 구간별 정부 기여금
정부는 가입자의 개인소득을 기준으로 전체 청년 중에서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4개 소득 구간으로 나눕니다. 각 구간에 따라서 정부 기여금의 변화가 있으니 잘 살펴보세요.
개인소득(연소득, 총급여) | 최대 기여금 (2024까지) | 최대 기여금(2025년 기준) |
2,400만원 이하 | 월 24,000원 | 월 33,000원 (9,000원 인상) |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 월 23,000원 | 월 29,000원 (6,000원 인상) |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 월 22,000원 | 월 25,000원 (3,000원 인상) |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 | 월 21,000원 | 월 21,000원 (기존과 동일) |
즉, 소득이 높을수록 정부기여금은 줄어듭니다. 반대로 저소득층일수록 더 많은 기여금(지원금)을 받습니다.
4. 2025년 신청 방법 (구체적인 절차 + 신청 링크)
2025년부터는 은행 창구 방문 없이도 모바일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다음은 청년도약계좌 신청 절차입니다.
1단계: 가입 가능 여부 확인하기
먼저, 내가 이 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해요. 위에 정리된 조건을 자세히 확인해 보시고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사이트 방문 추천드립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통합포털 바로가기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 본인 나이 및 주민등록표등본 기준의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바로 가구원 동의절
ylaccount.kinfa.or.kr
사전 자격 확인은 필수! 신청 전에 꼭 해보세요.
✅ 2단계: 청년도약계좌 전용 계좌 개설
가입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이제 전용 계좌를 개설해야 해요.다음 중 한 곳의 **모바일 앱(인터넷뱅킹)**으로 들어가면 돼요:
아래 이미지에 보이는 각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전용 계좌 개설' 메뉴를 찾아 진행하면 됩니다.
7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이 공지되었으니 놓치지 마시고 꼭 메모해 두세요.

✅ 3단계: 신청서 작성 및 소득 증빙 서류 제출
계좌를 만들었으면 이제 신청서 작성과 함께 소득을 증명할 서류를 준비해서 제출해야 해요.
계좌 개설에 필요한 서류 예시는 아래와 같아요:
-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한 연소득 확인 서류 (소득금액증명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종합소득세 신고서 사본)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 (필요 시)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는 스마트폰으로 파일 업로드하거나, 인증을 통해 자동 제출도 가능해요.
위의 서류 발급방법 안내드릴게요.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가장 많이 발급 받는 서류는 소득금액증명원이에요.
가장 표준적인 서류이고,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무료 발급 가능해서 가장 쉽게 제출할 수 있어요.
💡 홈택스에서 소득금액증명원 발급하는 방법 간단하게 말씀드릴게요
- 국세청 홈택스 접속
-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가능)
- 상단 메뉴 → 민원증명 클릭
- 소득금액증명 선택
- 발급 연도 선택 → 출력 또는 PDF 저장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발급방법
1) 정부24 웹사이트에서 발급하는 방법
먼저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정부24에 접속하는 거예요.
회원이거나 비회원으로도 발급이 가능한데,
비회원은 간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해요 nhis.or.kr+3gov.kr+3puts.ac.kr+3.
- 정부24 접속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검색
- 간단히 본인 인증 + 신청
- PDF로 발급하거나 프린터찍기 가능
장점은 집에서 편하게 발급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2.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에서 발급
또 하나 편리한 방법이 바로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이트(nhis.or.kr) 또는 ‘The건강보험’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거예요.
로그인 후 → 민원서비스 → ‘자격득실 확인서’ 메뉴로 가면 PDF 다운로드가 가능해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https://www.nhis.or.kr/nhis/etc/personalLoginPage.do
로그인 < 회원서비스 < 로그인ㆍ회원가입 | 국민건강보험
인증서를 최초1회 등록후에는 인증서로그인만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닫기 인증서선택 닫기
www.nhis.or.kr
- 웹(PC): nhis.or.kr → 개인민원 → 자격득실확인서
- 앱: The건강보험 → 민원서비스 → 자격득실확인서
- 무인민원발급기: 주민센터 등에 설치돼서 즉시 발급 가능
- 정부24: 하단 링크를 통해 발급 가능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332?utm_source=chatgpt.com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 민원 안내 및 신청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https://www.nhis.or.kr/static/html/guide/sub2_010103.html?utm_source=chatgpt.com
사이버민원센터 이용가이드
www.nhis.or.kr
✅ 4단계: 소득 조건 심사 → 가입 확정
서류를 제출하면, 정부에서 소득 심사를 거쳐 가입 대상인지 최종 확인해줘요.
심사가 완료되면, 문자 또는 앱 알림 등으로 결과가 통보되고, 가입이 확정되면 자동으로 계좌 운용이 시작돼요.
5. 신청 전 체크리스트 ✅
- 본인 소득이 연 7,500만 원 이하인가?
- 19~34세에 해당되는가? (병역 복무자는 예외 적용)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되는가?
- 1금융권 계좌를 개설했는가?
- 국세청 홈택스에서 소득 확인서류를 준비했는가?
- 최근 3개월 이내에 가입 신청을 진행했는가?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50% 정보를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체크리스트 확인 할 때 참고해보세요.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 250% (원) |
1인 가구 | 66,853,350 |
2인 가구 | 110,478,270 |
3인 가구 | 141,439,710 |
4인 가구 | 171,897,390 |
5인 가구 | 200,872,050 |
6인 가구 | 228,551,070 |
7인 가구 | 255,449,820 |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 결론: 지금 준비하면 5년 후 큰 차이가 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와 함께 목돈을 만들어나가는 일종의 공동 자산 프로젝트입니다.
요즘같이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 젊은 시절의 재정 기반 마련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하루라도 빨리 조건을 확인하고 신청 절차를 밟는 것이 미래의 나에게 가장 큰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무려 연 9.54%의 일반적금 가입혜택을 받는 것인데 신청하지 않을 이유가 없겠죠?
✔️ 나중에 후회하지 않기 위해
✔️ 더 많은 지원을 놓치지 않기 위해
✔️ 지금, 청년도약계좌부터 꼭 챙겨보세요.
★ 온통청년 사이트: 청년 혜택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크롬에 즐겨찾기하고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거에요.
https://www.youthcenter.go.kr/main
온통청년
로그인 로그인 하시고 맞춤 정책정보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www.youthcenter.go.kr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공유로 함께 나누어 주세요!
더 많은 정부지원·금융 꿀팁도 앞으로 꾸준히 정리하겠습니다. 😊
'정부 정책 > 청년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025 최신 가이드 – 자격, 절차, 지원 금액 총정리 (9) | 2025.07.07 |
---|